컨셉수업 | 2장 독서 요약 및 후기

컨셉수업 2장에서는 질문의 중요성과 좋은 질문을 이끌어내는 방법을 말해주고 있다.

좋은 컨셉을 이끌어내려면 조리 있는 질문이 반드시 필요하다.

창의성의 5단계

인간의 창의성이 발전하는 과정은 ‘질문’과 ‘답’을 변수로 삼아 설명할 수 있다.

다음 표는 각 단계의 정의와 말을 기반으로 예시를 든 것이다.

Level 0주어진 일을 제대로 해낸다.
→ 시키는 대로 말을 보살핀다.
Level 1주어진 일을 궁리하여 더욱 훌륭하게 해낸다.
→ 일의 상태에 따라 이것저것 시도해 본다.
Level 2주어진 질문에 대해 여러 답을 떠올린다.
→ 어떻게 하면 말을 빨리 달리게 할 수 있느냐는 질문을 듣고 답을 생각한다.
Level 3전체 조건을 의심하고 스스로 의문을 제기한다.
→ 등에 앉는 것보다 편안하게 말을 타는 방법은?
Level 4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만든다.
→ 수레바퀴를 달아 마차를 만든다.
Level 5사회나 업계의 전제를 뒤집는 큰질문을 제시하고 답을 만든다.
→ 역과 역으로 이어진 교통 시스템을 제안한다.

Level 0 주어진 일을 제대로 해낸다.

이 단계는 시키는 대로 그대로 행함으로 창의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Level 1 주어진 일을 궁리하여 더욱 훌륭하게 해낸다.

“Level 0″에서 주어진 일이 익숙해지면, 혹자들은 더 좋고 편한 방법을 궁리해 보게 된다. 대부분 사람은 누구나 지혜를 활용해 더 나은 방법을찾으려 할 것이다. 주어진 규칙 안에서 떠올리는 아이디어는 창의성의 첫 번째 단계이다.

Level 2 주어진 질문에 대해 여러 답을 떠올린다.

Level 1을 넘어 새로운 질문을 받게 되었을 때, 이 단계에서 여러 가지 방안을 떠올린다. 말로 이야기를 들자면 이제는 단순히 보살피는 정도가 아닌 말의 성능 즉, 말이 더 빠르게 달릴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보살핌의 범주를 넘어 다양한 관점에서 아이디어를 떠올려 본다.

Level 3 전제 조건을 의심하고 스스로 의문을 제기한다.

이 단계부터가 주체가 자신으로 바뀌는 단계이다.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질문에 의한 수동적인 태도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진정한 자신만의 질문이 나오기 시작한다. 말로 이야기를 하자면 “빠르게 달리는 방법”이라는 전제 질문에서 벗어서 “더 편안하게 타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다.

Level 4 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만든다.

이 단계에서 “지금껏 존재하지 않던 질문”이 “지금껏 존재하지 않던 답”을 이끌어내 컨셉이 탄생한다.

Level 5 사회나 업계의 전제를 뒤집는 큰 질문을 제시하고 답을 만든다.

사회의 구조까지 바꾸는 이 단계는 수천, 수만 명의 사람을 움직여야 하는 실무자에게 가장 큰 창의성을 요구하는 일이 된다.

정리

과거에는 창의성을 Level 2의 아이디어의 다양성 안에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한 가지 질문에 대하여 가장 많은 답을 내어놓는 사람을 칭찬했었다.

이 책에서 말하는 컨셉 만들기와 창의성이란 Level 3 이 후를 가리킨다. 상식적인 질문에 의문을 제기하는 데서부터 컨셉 설계가 시작된다.

좋은 질문

좋은 질문은 좋은 패스와 같다. 축구에서의 좋은 패스와 같다. “자유로운 공간”과 “결정적인 기회”를 만들어 주는 좋은 패스와 같다는 것이다.

좋은 질문의 공식은 ‘자유도’와 ‘임팩트’의 곱과 같다.

자유도 X 임팩트

‘자유도’란 생각을 펼칠 수 있는 공간을 뜻한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는 질문일수로고 자유도가 높다.

‘임팩트’에는 넓은 임팩트와 깊은 임팩트가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따라 넓이를 가늠하며, 넓지는 않지만 한 사람의 인생을 바꿀 수도 있는 영향도가 높은 질문을 깊은 임팩트로 본다.

자유도와 임팩트에 따라 질문을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나쁜 질문 : 임팩트가 크고 자유도가 낮은 질문
  • 어리석은 질문 : 임팩트도 작고 자유도도 낮은 질문
  • 퀴즈 : 임팩트가 작고 자유도가 높은 질문
  • 좋은 질문 : 임팩트도 크고 자유도도 높은 질문

질문을 바꾸는 재구성

질문을 바꾸면 관점이 바뀌고 발상이 바뀌며 컨셉도 달라진다.

8가지 재구성 방법

  1. 부분에 관한 질문 → 전체에 관한 질문 : 부분보다 전체를 헤아린다.
  2. 객관적인 질문 → 주관적인 질문
  3. 현실적인 질문 → 이상적인 질문 : 우리가 지향해야 할 이상
  4. 명사 → 동사 : 행동에 주목
  5. 창조 → 파괴 : 파괴해야 할 지루한 상식
  6. 수단 → 목적 : 그것이 수단이라면 목적은?
  7. 이기적 → 이타적 : 사회는 어떻게 개선될 것인가
  8. 정해진 → 자유로운 : 더 나올수 있는 질문이 있는가?

양방향 어느 쪽이든 질문을 전환 해볼 수 있다.

후기

2장은 구체적으로 컨셉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좋은 질문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IT밖에 모르던 전형적인 공대 출신인 나에게 눈을 뜰 수 있게 해주는 좋은 내용이다.

생각을 정리하고 기록하고 쓸모있게 만드는 방법의 첫 장을 연 것 같은 기분이다. 이제 새로운 세계로 문을 막 열고 반 걸음 들어가고 있는 느낌이다.

책의 한 장 한 장을 잘 읽고 기록해 두어야겠다.


참고

좋은 글 : We should be better.

“컨셉수업 | 2장 독서 요약 및 후기”에 대한 1개의 생각

댓글 남기기